BLACK-THROUGH FURNITURE3 | BLACK-THROUGH FURNITURE2 |
---|
Black through furniture
Design / Mootaa, Eunwhan Cho, Taiho Shin
1800x400x160 (mm)
Metal Fabri
Photograph / Mootaa
We concentrated o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in-between’ and ‘penetration’ of all Korean words in production of this entertainment furniture for audio and visual gadgets. Gadgets can be faintly seen through the mesh on the front side, making the furniture even more interesting. This presents a new possibility for furniture, the purpose of which is not simply limited to functionality.
By shifting the form from being fixed and stifling to having a feeling of lightness, the furniture itself makes its presence clear although transparency. Being composed of units separately produced, the ensemble of furniture can be freely arranged as needed to suit for the space. This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features of the traditional house, in which spaces are versatile as they can be opened and closed in many ways.
내부를 온전히 감추거나 혹은 들어내지 않은 것. 한국적인 ‘단어’ 중에 ‘사이’와 ‘관통’에 관한 해석에 집중한다. A/V 기기들이 놓이게 되는 이 가구는, 그 기기들을 온전히 감추지 않는다. 그것은 단순히 기능적인 이유만 아닌, 가구에 새로운 가능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검은 매쉬 사이로 언듯 비춰지는 구조를 통해 가구는 그 자체로 다채로움을 지니게 된다. 고정된 형상으로 구축되는 것이 아닌, 가벼움으로 형태를 변화시키는 것이 이 가구가 가질 수 있는 미덕이다.
또한 일정 단위로 나눠 제작된 유닛 구성을 통해 공간에 맞는 가구 배치가 가능하다는 점 역시 간과할 수 없다. 유닛은 가로와 세로로 확장하며 공간에 따른 볼륨을 갖게된다. 가구는 스스로 투명하지만, 그 존재감은 분명할 것이다.